폭설/ 윤제림
싸락눈으로 속삭여봐야 알아듣지도 못하니까
진눈깨비로 질척여봐야 고샅길로 못 막으니까
저렇게 주먹을 부르쥐고 온몸을 떨며 오는 거다.
국밥에 덤벼봐야 표도 안나니까
하우스를 덮고,양조장 트럭을 덮는 거다.
때로 몰려와 그리운 이름 소리쳐 부르는 거다.
어른 아이 모다 눈길에 굴리고 자빠뜨리며
그리운 이의 발목을 잡는 거다.
전화를 끊고 정거장을 파묻는 거다.
다른 세상으론,
비행기 한 대 못 뜨게 하는 거다.
철길을 끊고 정거장을 파묻는 거다.
/////////////////////////////////////////////////////////////////////////////////////////////////////////////////////////////////////////////////////////////////////////////////////////////////
올 들어 눈이 흔해져서 몇번인가 눈발이 흩날리고 차 지붕이나 살짝 덮는 정도로 새벽에 잠시 함박눈으로 내리는 정도였지만,눈이 흔한 곳에서는 벌써 난리아닌 난리가 났다
하우스 지붕을 털어내고,길을 뚫고ㅡ 그러고도 눈은 도시에서 힘든 서정이다
우리는 시쳇말로 현타가 오니까
그런 정서따위를 감당하기 어려운지도 모른다
그래도ㅡ눈 내리면 여기저기 눈을 소문내거나 마음이 술렁이지 먼 곳의 폭설이라 다만 이곳이 아닌 풍경처럼 읽히고
겨울이 깊어짐을 깨닫는 중이다
오래전엔 눈이 발목을 잡아 아니 눈에 발목을 잡혀 가던 길을 막혀야 할 때 이야기는 생겨나곤 했겠지
이청준 작가의 눈길이 떠오른다
또 어느 산골 마을에 양식을 구하러 간 남편이 눈길에 막혀 오지 못하고,아낙네는 혼자 산골집을 지키는데
나그네가 찾아와 함께 보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단다
봄이 되어서야 길이 뚫리고 나그네는 산아래 주막에서 눈 때문에 산골 외딴집에서 겨울을 보낸 이야기를 푸는데
가만히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니,자신의 아내와 보낸 사내가 아닌가?
사내는 긴 겨울 두부를 먹고,콩나물을 키워먹으며 보냈다고 그런 이야기를 했고
남편은 물었다"그 아낙 잘 있더냐고..."
눈길에서 가세가 기운 어머니는 아들이 고향집에서 하룻밤을 보내게 하기 위해 이미 다른 이에게 넘긴 집에서 아들을 재우고 새벽에 함께 눈길을 걸어 배웅하고 돌아오던 길에 아들과 어머니가 함께 걸었던 발자국을 따라 돌아온다는 이야기다
현대의 폭설이라면,어디선가 갑자기 나타난 체인장수 길이 막히면 뻥튀기나 먹을 것을 들고 잽싸게 나타나는 사람들
스키타러 가는 이들의 즐거움 정도일까?
푹푹 빠지는 눈길을 헤치며
태백산을 올랐던 것이 떠오른다
사람들이 나더러 대단하다 하며 지나기에 이유를 몰랐었다.미끄러운 눈길을 운동화를 신고 가고 있었으니 산아래서 심히 걱정 되었을 그들이 아무도 내 길을 막지는 않았다
그렇게 올랐던 태백산에서 겨우 하산했을 때는 양말과 신발이 젖어서 물이 뚝뚝 떨어졌었다
시린 발을 녹여주던 국밥
뜨거운 국밥을 먹고나서야 얼굴이 붉게 익고,나는 얼마나 무모한 사람인가를 깨달았다
다 지나고 나서야 무모함을 깨치는 것이 어디 이뿐이었으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