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꽃 소년
박노해 시인이 ‘소년’의 얼굴로 돌아왔다. 그의 첫 자전수필 『눈물꽃 소년』은 남도의 작은 마을 동강에서 자라 국민학교를 졸업하기까지, “평이”라고 불리던 소년시절의 성장기이다. 어두웠고 가난했고 슬픔이 많았던 시절, 그러나 그는 “내 마음에는 어둠이 없었다”고 말한다. 독자들이 그에게 가장 많이 건넨 질문은 이것이었다. “무슨 힘으로 그런 삶을 살 수 있었나요?” 그는 답한다. “내 모든 것은 ‘눈물꽃 소년’에서 시작되었다”고. 다독다독 등을 쓸어주는 엄니의 손길 같은 이야기에 빠져들다 보면, 어느덧 이 작은 아이가 웃음과 눈물로 우리의 마음을 휘젓는다. 곱고도 맛깔진 전라도 사투리의 글맛 속에 그가 뛰놀던 산과 들과 바다가 펼쳐지고, 계절 따라 진달래 해당화 동백꽃 향기가 스며오고, 흙마당과 마을 골목과 학교와 장터와 작은 공소와 그를 키운 풍경들이 영화처럼 그려진다. 33편의 글마다 박노해 시인이 직접 그린 연필 그림이 함께 담겼다. “그인들 그러고 싶어서 그리했겄는가. 누구도 탓허지 말고 자중자애허소.” 죄를 지은 청년을 보듬어 다시 살아갈 힘을 주던 할머니. 일곱 살에 아버지를 여읜 평이에게 ‘동네 한 바퀴’를 돌게 하며 씩씩하게 나아가게 한 이웃 어른들. 부당한 일에 “아닌 건 아닌디요” 함께 맞서며 같이 울어주던 동무들. “더 좋은 거 찾으면 날 가르쳐 주소잉” 늘 몸을 기울여 학생들의 말을 들어주던 ‘수그리’ 선생님. 세상 만물을 지고와 흥겨운 입담을 풀어놓던 방물장수. 말이 아닌 삶으로 가르치며 잠든 머리맡에서 눈물의 기도를 바치던 어머니. 작은 공소의 ‘나의 친구’ 호세 신부님. 낭만과 멋과 정감이 흐르던 동네 형과 누나들. 외톨이가 되었을 때 “나랑 같이 놀래?” 한 편의 시詩로 다가와 연필을 깎아주던 첫사랑의 소녀까지. 무엇이 한 인간을 빚어내는지, 부모와 아이, 스승과 제자, 이웃과 친구는 어떠해야 하는지, 지금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눈물꽃 소년』은 저마다 자신의 이야기를 소중히 돌아보게 한다. ‘소년 평이’와 함께 울고 웃다보면 마음의 힘과 영혼의 키가 훌쩍 자라날 책, 『눈물꽃 소년』의 이야기 속으로 떠나보자.
- 저자
- 박노해
- 출판
- 느린걸음
- 출판일
- 2024.02.22
한때 그를 일컬어 박해받는 노동자 해방이라고 박노해라는 필명이 쓰였다는 얘기가 있었다
시인이되,남도쪽 사람들의 풍류는 다들 한가락씩 하고 있는 편이라,어쩐지 계몽시대의 글처럼 읽힌다는 느낌에서 썩 내키는 글은 아니었지만,그건 어디까지나 그의 시에 대한 이야기였고,사람을 알려면, 또 장문의 문장을 통한 그의 일상을 둘러보는 것도 새로운 발견의 계기가 되겠기에 새로 낸 책을 골라왔었다
그런데,웬걸? 참 구수한 남도의 입말로 씌어진 글들이 착착 감겨오기도 하고,이젠 젊은층이 아닌 세대로 그가 어릴적이라고 말하는 시대는 한참이나 먼 시간 저켠의 이야기지만,어느부분에서는 겹쳐지는 추억도 있고,또 어느부분에선 사는 곳이 다르니 풍습도 다르고 성향도 달라서 그렇구나 하는 이해의 마음도 생겨난다
어릴적부터 글쓰기를 좋아했고,책을 좋아해서 마을에 책장수가 들어왔을 때 책을 하룻밤에 다 빌려다 읽었다는 일화며 유년의 추억을 공유한 좋은 친구들에 대한 이야기는 성장기를 거치면서 다들 어금버금한 것 같다
강한 투사의 이미지로만 읽혔던 그가 이로써 그냥 글을 쓰는 감성적인 사람이구나 하는 마음으로 전환되었다
좋은 할머니 좋은 부모님,무엇보다 어린 우리가 잘 자라기에 좋은 환경은 그러한 선생님들이 계셨다는 사실에 힘을 얻었다
지금은,나는 좋은 어른인가? 어린세대나 청년들에게 좋은 사람이고 있는가? 를 묻게 된다.